본문 바로가기

Nature & Wellness

긴급돌봄 서비스(보건복지부), 대상부터 신청방법까지!

Contents

 

 

최근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 등 긴급한 상황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가정이 많습니다. 이러한 가정에 빠르게 도움을 드리고자 긴급돌봄 서비스가 시행됩니다.

 

 

어떻게 신청하고,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긴급돌봄 서비스(보건복지부), 대상부터 신청방법까지!

 

1.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기본 요건

  • 가족의 부재, 갑작스러운 질병, 사고 등으로 일시적이고 긴급한 돌봄 지원이 필요한 경우
  • 기존의 돌봄 서비스 이용이 어렵다면 소득에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단, 현장 방문을 통해 확인되는 사항

  • 긴급성(한시성)
  • 돌봄 필요성
  • 보충성(다른 서비스 이용자는 제외)

③ 제외 대상

  • 일반적인 아동 양육 및 즉시 개입이 필요한 사고, 자살 시도, 확대 사례 등은 긴급돌봄 서비스에서 제외되며, 다른 관련 서비스와 연계됩니다.

 

 

2. 서비스 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① 지원 내용

  • 전문 요양보호사가 가정에 방문하여 기본적인 신체활동 지원 및 가사·이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② 지원 시간

  • 월 최대 72시간(3시간×24일)까지 이용 가능합니다.
  • 하루 최대 8시간 내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대로 지원이 가능합니다.
  • 지원 서비스는 최대 30일 내에서 제공됩니다.

 

 

3. 서비스 가격 및 본인 부담금

 서비스 단가

  • 노인장기요양보험 단가(방문급여)를 기준으로 하며,
    • 1시간 이용 시: 24,000원
    • 3시간 이용 시: 54,000원

 본인 부담

  •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무료입니다.
  • 중위소득 160% 초과자는 전액 본인부담이 원칙입니다.
  • 본인부담 비율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니, 지자체별로 문의하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4. 서비스 신청 방법

긴급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거주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병원 내 퇴원지원실 및 지역 지원기관(희망복지지원단, 노인의료요양통합돌봄팀)의 추천이나 퇴원확인서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현장 확인 절차 없이 바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서류만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읍면동에서 현장 확인 후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긴급돌봄 서비스 신청 절차

  1. 안내 및 상담 (사회서비스원 등 연락처: 하단 참고)
  2. 신청 및 접수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서 작성)
  3. 필요도 확인 및 서비스 계획 수립 (읍면동의 현장 확인 후 계획 수립)
  4. 서비스 제공 및 모니터링 (선택된 서비스 제공 및 품질 관리)
  5. 정산 및 종료 (서비스 비용 정산 및 종료 후 타 서비스 연계 안내)

 

📌 긴급돌봄 서비스 시행 지역 (2025년 기준)

시·도시행 지역 (시군구)
부산 16개 시군구(전체)
대구 9개 시군구(전체)
인천 10개 시군구(전체)
광주 5개 시군구(전체)
대전 5개 시군구(전체)
울산 5개 시군구(전체)
세종 전체 지역
강원 4개 시군구(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횡성군)
충북 10개 시군구(청주시, 증평군, 충주시, 제천시,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전북 14개 시군구(전체)
전남 22개 시군구(전체)
경북 7개 시군구(포항시, 구미시, 상주시, 의성군, 고령군, 성주군, 울진군)
경남 12개 시군구(창원시, 진주시, 통영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함안시, 창녕군, 남해군, 하동군, 합천군)
제주 2개 시군구(전체)

 

 

📌 긴급돌봄 서비스 문의처
📞 사회서비스원: 1522-0365
📞 보건복지부: 129
📞 지자체별 콜센터: 각 지역 행정복지센터로 문의하세요.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한 긴급돌봄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돌봄 공백으로 인한 불안감을 줄이고 가족과 여러분의 삶의 질을 높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