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ture & Wellness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2025(보건복지부): 신청 대상부터 가격까지 한눈에 정리

Contents

 

 

 

우리의 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때때로 몸보다 더 아플 때가 있습니다.
우울, 불안, 스트레스 같은 정서적 어려움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문제이며, 더 이상 혼자 감당해야 할 몫이 아닙니다.

최근 사회는 이러한 마음의 고통을 ‘함께 이해하고 돌봐야 할 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정부도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지원을 적극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주목받는 정책이 바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국민 누구나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 또는 무료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인데요.

2024년 시범 운영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에는 더욱 개선된 모습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2025(보건복지부): 신청 대상부터 가격까지 한눈에 정리

 

 


과연 누가,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지원 대상자 누구일까요?

✅ 아래 대상자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되면 신청 가능해요!

  1.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상담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Wee센터 등에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자
  2. 정신건강검사(PHQ-9) 결과 우울 점수 10점 이상(중간 이상)
  3. 정신의료기관에서 우울·불안으로 인해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자
  4.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연장아동
  5. 동네의원 마음건강돌봄 연계 시범사업을 통해 의뢰된 자

 

2. 어떤 상담을 받을 수 있나요?

🗨 대화기반의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

  • 8회 바우처 제공
  • 1회당 최소 50분 이상
  • 제공인력 자격 기준에 따라 1급 / 2급 유형으로 구분

3.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1️⃣ 증빙서류를 준비한 후
2️⃣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복지로 www.bokjiro.go.kr) 신청
※ 온라인 신청은 만 19세 이상 본인만 가능

📅 신청 시작일: 2025년 1월 1일부터

 

4.  바우처 발급 이후 절차는요?

1️⃣ 신청서 제출 후,
2️⃣ 보건소에서 대상자 통지
3️⃣ 국민행복카드 또는 사회서비스카드에 정부지원금 충전
4️⃣ 전국 서비스 제공기관 중 선택 → 상담 예약 및 본인부담금 납부 후 이용

📌 바우처 유효기간: 발급일로부터 120일 이내
※ 연장 불가

 

5. 서비스 가격은 어떻게 되나요?

구분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총 비용
1급 유형 (회당 8만원) 최대 64만원 소득 따라 0~19.2만원 64만원
2급 유형 (회당 7만원) 최대 56만원 소득 따라 0~16.8만원 56만원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연장아동: 본인부담금 전액 면제

<소득 기준별 본인부담 비율>

  • 70% 이하: 0%
  • 70~120% 이하: 10%
  • 120~180% 이하: 20%
  • 180% 초과: 30%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2025 서비스 가격표

 

 

6. 서비스 기관은 어디서 찾나요?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
🔗 www.socialservice.or.kr

2025년 4월 기준, 전국 1,474개소에서 상담 가능하며 계속 확대 중입니다.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www.129.go.kr

 

보건복지상담센터

국번없이 129, 긴급복지, 복지지원, 자살, 알콜중독 등 복지 상담 서비스 제공

www.129.go.kr

 

마음이 힘들 땐, 누군가에게 털어놓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됩니다.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그런 따뜻한 시작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지금 당신의 마음이 조금 무겁다면, 주저하지 말고 이 제도를 활용해보세요.
당신의 이야기를 듣고, 함께 걸어줄 누군가가 곁에 있다는 걸 기억해 주세요.